2008년 9월 3일 수요일

결단 [決斷]

내가좋아하는 단어 중의 하나이다. 결단이라고 하는것, 한자에서도 알수있듯이 자르기로 결정한다는 말이다. 결단은 이제까지 나를 어렵게 하였던 많은 문제 또는 하나의 문제안에 있는 많은 이슈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는 말이다. 살다보면 복잡한 일도 많고 난처한 일도 많다. 각각의 문제에 대하여 우리는 고심도 하고 걱정도 하면서 어떤 한 순간이 되면 결정을 내려야 한다. 어려운 결정일지라도 한번 결정을 하면, 다시는 뒤돌아보지 아니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단이라고 하는 말이 그만큼 매력적이다. 결단을 내리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나, 충분한 고심을 하였다면, 결단후의 생기는 일에 대하여서는 더이상 과거를 들춰가며 후회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때 당시, 결단하던 당시, 최선이었기에.

영어에도 결단을 의미하는 많은 단어가 있다: determine, resolve, decide등이 있다. 기본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주최의 의지를 나타내는 단어들이다. 미국인들은 결단을 뜻하는 용어를 많이 쓴다. 개인이 되었든, 단체가 되었든. I decided to go to med school. I made a determination that I would never again drink alchol. The committee resolved to send a letter of warning to the member. 등등.

영어는 직선적이다 라고 흔히 이야기 한다. 그렇기 때문에 디털민, 리졸브, 디싸이드등의 단어들이 일상 대화에서도 많이 등장한다. 미국의 문화는 나의 의지를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전제가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다인종, 다민족에 의하여 이룩된 나라이다. 그러다 보니 보다 정확하게 상대방에게 나의 의사를 전할 필요가 있고, 그래야만 미스콤뮤니케이션이 줄어들수 있겠다.

우리 말중의 결단이라는 단어는 사실 한국인의 일상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 단어이다. 그만큼 정말 중요한 안건이 아니면 사용되지 않는단어이다. 하지만, 영어에서는 아주 많이 사용된다. 특히 디싸이드라는 단어는 아주 많이 사용된다. 물론 결정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그럴수도 있겠으나, 역시 직선적 문화의 특성중 하나 아닐까 생각해 본다. 한국식의 이심전심이 안통하는 미국사회에서는 역시 잌스프레시브한, 직선적표현이 왕도이다.

이처럼, 외국어라고 하는것은 수학의 공식처럼 일대일의 방정식은 없다. 그러기에, "열심히 공부하기로 했다" 라는 말의 올바른 번역은 "I have decided to study hard." 여기에는 누가에 속하는 "I", 결정(결단)을 뜻하는 "decided"등이 잌스프레시브하게 표현된다. "I will study hard." 라고 직역 한다면, 역시 충분한 역이 아니다.

댓글 없음: